더이상 찐득찐득한 치아본뜨는작업 안하셔도 됩니다!!!!!
세상이 얼마나 좋아졌는데요.
이제는 임플란트 진단장비도 발전을 했습니다.
더이상 예전에 불편했던 치과치료를 받지 않아도 된다는거죠!!!
하지만 사람들이... 몰라서...ㅠㅠ 치과에서 다 이렇게 하는거라니까... 어쩔 수 없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제가 이런 포스팅을 시작하게 된거에요 ㅠㅠ
더 편하고 안전하게 치료받으실 수 있는데 모르니까 당하는 그런일이 없길바라며
꼼꼼히 살펴보고 현명하게 치과를 선택하실 수 있는 정보가 되시길 바랍니다.
그럼 이제부터 임플란트 진단방비에 대해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임플란트 진단장비 비교
다른 질병도 마찬가지지만, 임플란트 역시 일반인의 경우 정확한 정보를 얻기는 쉽지 않습니다.
인터넷에서 접하는 임플란트와 관련된 정보는 '임플란트는 이런것입니다 여러분~' 이라는 아주 일반적인 내용과
각 치과에서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정보가 대부분입니다.
인터넷에 올라온 정보들은 대부분 어떤 치과에 가봤더니 원장님이나 스탭분들이 너무 친절해서 편안하게 잘 치료했다며
"oo치과 강추임!!!"하는 글들이 주로 이고 있습니다.
정작 치과 선택에 중요한 정보들은 많이 부족하더라구요.
어떤 질병이든 치료에 앞서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입니다.
임플란트 역시 마찬가지 인데요.
임플란트 시술에 앞서 뼈의 구조를 정확하게 살펴 볼 수 있는 덴탈 CT를 통한 진단은 치과를 선택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전국에 치과의수가 약 15,000개 정도입니다.
하지만 이준에 덴탈CT를 보유한 치과수를 그리 많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덴탈CT 보급율이 어느 정도인지는 정확한 파악이 어렵지만 임플란트를 하기위해 치과에 가서 상담을 받을 때
덴탈CT가 있는지 물어 보시면 10개의 치과중 2~3곳 정도만 보유한 사실을 알게 되실겁니다.
덴탈CT가 왜 중요한지 알아보기 전에 임플란트 시술전 사용하는 진단장비부터 살펴 보겠습니다.
- 임플란트 진단장비 비교 -
- 덴탈CT의 필요성 -
임플란트 식립시 파노라마 엑스레이, CT등의 장비를 통해 촬영한 사진을 보고 환자의 구강상태를 진단하게 됩니다.
우리 인체의 턱뼈에는 하치좃니경, 이공 등과 같은 중요한 신경 구조물들이 있습니다. 이와같은 신경의 위치와 임플란트의 거리를 정확하게 특정하여 임플란트 뿌리에 해당하는 픽스처를 식립할 계획을 세웁니다.
파노라마 사진은 뼈의 단면만 볼 수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 수술시 임플란트의 뿌리가 신경을 침범하는 경우가 발생.
임플란트 수술시 하치조신경을 자극하면 아랫입술이 마비되는 것과 같은 부작용을 초래합니다.
때문에 덴탈CT를 통해 턱뼈의 길이, 넓이, 깊이, 신경구조물들을
3차원으로 정확하게 파악하고 식립 할 임플란트의 길이 선택과 정확한 위치를 잡는것이 중요합니다.
- 하치조신경 손상의 예 -
(실립된 임플란트가 하치조신경을 침범한 모습을 덴탈CT를통해 진단한 사진)
(실립된 임플란트가 하치조신경을 침범한 모습을 덴탈CT를통해 진단한 사진)
위의 CT 사진중 노란색 원을 보시면 임플란트 픽스처가 신경을 침범한 모습을 보실 수 있는데요, 이런 경우 파노라마 X-Ray 만으로 진단을 내리고 수술을 진행하다 생긴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덴탈CT를 통한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물론 파노라마X-ray로 진단하고 수술을 진행한다고 모두 이런 상황이 벌어지는 것은 분명 아닙니다.CT 없이도 많은 치과의사분들이 임플란트를 수술을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진행하고 계십니다.
다만, 위의사진과 같은 상황이 나에게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많은 비용을 들여서하는 임플란트, 기왕이면 CT를 보유한 치과에서 수술을 받는 것이 좀 더 안전하고 성공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위의 진단 장비중 [디지털 구강스캐너]는 인공치아(보철, 크라운)를 제작하는데 사용하는 첨단 장비입니다.
기존의 치아의 본을 뜨는 과정을 디지털스캐너로 대체한 장비인데요, 환자 본래의 치아모양과 똑같은 인공치아를 만들어 주는 장비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른 곳에서 소개하기로 하고 간단한 비교 사진만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 기존 인상 체득과정과 디지털 구강스캐너를 통한 인상 체득과정 비교-